헬레니즘시대의 우주관 2 이전글 [천문] - 헬레니즘시대의 우주관 1 3. 히파르코스의 관측천문학 히파르코스는 많은 다른 과학자처럼 지구중심설을 지지하였고, 행성의 운행 에 관해서는 이심원설을 주장하였다. 이심원설에는 고정된 이심원과 움직이는 이심원 두 종류가 있는데, 후자는 기하학적으로 주전원설과 같다. 그는 천동설을 고수하였지만 주전원과 이심원을 사용하여 관측된 현상과 모델의 일치에 합리적인 해석을 꾀하였다. 그리스 천문학이 단순히 기하학적 모델로 현상을 설명한 데 반하여 그는 천문학을 양적으로 취급하는 정밀과학으로 전환시켰 다. 그는 하늘에 관해 신비적이고, 미신적인 생각은 결코 하지 않았다. 또 천문계산에 삼각법을 체계적으로 사용하였다. 히파르코스의 발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옛날의 천문관측 ..
헬레니즘시대의 우주관 1 1. 아리스타르코스 동심원구들로 이루어진 천체구조와 관찰간의 괴리를 제거하기 위해 헤라클 레이데스는 수성과 금성은 태양 주위를 회전하고 태양을 비롯한 다른 행성과 달은 지구 주위를 회전하는 불완전한 형태의 태양중심설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사모스 출신의 아리스타르코스(Aristarchos, B.C.3세기경)는 보다 완전한 태양 중심의 천체 모델을 제시하게 된다. 아르키 메데스가 전하는 바에 의하면 아리스타르코스는 우주의 중심이 지구가 아닌 태양이라는 가정하에 지구는 매일 한번씩 자전하면서 일년에 한번 태양 주위 를 공전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지구 주위를 도는 달을 제외하고 모든 행성 은 태양 주위를 회전하며 항성은 움직이지 않지만 지구가 자전하는 바람에 지 ..
[우주론] 고대 우주론과 서양의 우주관 1. 고대 우주론 1) 우주 기원론 우리나라의 고대 우주론은 우주 기원론과 우주 구조론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천문 사상의 기원은 신화시대에 기원을 두고 있다. 그래서 우주를 하늘 과 땅으로 이분하거나 천상, 지상, 지하로 삼분하여 이해하려는 경향이 강하 다. 우주가 이와 같은 구조로 탄생되거나 사멸되는 과정에 대한 신화적 각본 이 원시적 우주론으로 체계화되었다고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고대 우주 기원론은 문헌과 무속의 여러 신화를 통해 전해온다 . 그 내용은 완전히 무의 상태에서 시공간과 물질계가 창생되는 각본(창조형)이 아니라 , 대게 어느 정도 원초적 우주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공간과 물질계와 생명체가 창조되고 그 안에 새로운 질서가 갖춰지는 과정(개벽형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