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운동 3] 천동설과 지동설의 논쟁 갈릴레이는 지구가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려 한 최초의 인물이다. 여기서는 갈릴레이와 함께 우리의 주제, 지동설의 증거를 생각해 보자. 1608년경 네덜란드에서 망원경이 발명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갈릴레이는, 망원경의 원리를 추측하여 스스로 망원경을 조립하여 천체를 관측했다. 다음은 그의 천체 관측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① 하늘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넓었고 별도 많았다. 은하가 무수한 별들로 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② 가장 놀라운 것은 달의 모습이었다. 달은 매끈한 천체가 아니라, 지구와 마찬가지로 산과 골짜기가 있었다. 그는 골짜기는 전에 바다가 있었던 곳 이라고 생각하고, 그림자를 재어 산의 높이를 계산했다.③ 그는 태양의 흑점을 관측했는데, 그..
[우주의 운동 2] 천동설과 지동설 태양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고 밤하늘의 별들은 북극성을 원점으로 해서 서에서 동으로 한바퀴 돈다. 달은 항상 똑같은 모습이 아니라 거의 30일 을 주기로 찼다가 기울었다 가를 반복하고 하루에 뜨는 시간이 50분씩 늦어지 는 운동을 한다. 이것이 우리 주위에서 흔히 발견될 수 있는 천체의 운동인 것이다. 이것을 우리는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먼저 태양을 보면 매일 동쪽으로 떴다가 서쪽으로 지므로 지구 주위를 매일 한 바퀴씩 돈다고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좀더 대담하게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고 지구 주위를 모든 별들이 돈다고 생각하면 태양의 운동이나 별 의 일주운동, 달의 운동들이 어느 정도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천동설이다. 아주 기본적인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