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의 혁명 3] 요하네스 케플러 요하네스 케플러는 군인의 아들로 태어나 4세 때에 천연두를 앓는 등 육체 적인 병약함과 경제적인 빈곤 속에서 자랐다. 17세에 아버지가 전상으로 죽자, 이듬해 튀빙겐대학에 장학생으로 입학하여 신학을 공부하고 1591년 석사학위 를 받았다. 그러나 신학에 싫증을 느끼고, M.메스트린 교수로부터 소개받은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에 감동되어 천문학으로 전향하였다. 1594년 그라츠대 학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강의하는 한편, 점성력의 편수를 위촉받아 일하면서, 그 해 겨울의 강추위와 전쟁을 예고한 것이 적중하여 좋은 평판을 받았다. 1595년 천체력을 발간하고, 이듬해 『우주구조의 신비』를 출판하여 행성의 수와 크기, 배열간격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이로 인하여 티코 브라헤와 갈..
[천문학의 혁명 2] 티코 브라헤 덴마크 귀족 출신의 천재적인 관측 천문학자인 티코 브라헤는 코펜하겐 대 학에서 정치가가 되려고 공부를 시작한지 1년만에 일식을 보고 갑자기 천문학 에 관심을 갖기 시작, 그후 평생을 천문 관측에 바쳤다. 그는 육안 관측 천문 학자로는 고대의 히파르코스 이후 가장 위대한 사람이다. 브라헤는 1576년 덴 마크왕 프레데릭 2세의 후원으로 벤섬에 '하늘의 도시'라는 뜻의 우라니보르 그 천문대(Uraniborg Observatory)를 직접 설계하여 당시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잘 설비된 천문관측소를 건설하여 그때부터 대략 20년간 망원경이 사용되기 전의 세계 천문학사상 가장 훌륭한 관측 기록을 남겼다. 이 천문대는 최고의 관측기구를 갖춘 외에도 연구실, 관측실, 기계 공작실, 침..
[천문학의 혁명 1] 코페르니쿠스 비수아강(江) 근처 토룬에서 출생한 코페르니쿠스는 10세에 아버지를 잃고 외삼촌인 바체르로데 신부 밑에서 자랐다. 코페르니쿠스는 1491년 신부가 되기 위해 입학한 크라코프대학에서 철학교수인 불제프스키에게서 수학과 천문 학 강의를 들었는데, 이때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관(천동설)과 알폰소 항성목 록 사이의 불일치를 알게 되었다. 당시의 천문학에는 교회력의 시정과 항해력 의 개량이라는 두 개의 큰 문제가 미해결로 있었다. 교회력은 율리우스력을 오랫동안 사용한 까닭에 달력에서 춘분 등의 절기가 실제보다 10일 정도 늦게 와서 제례일과 계절이 부합하지 않는 종교적 권위에 관계된 문제가 있었다. 한편, 항해력은 원양항해자가 천문항법을 이용할 때, 천동설을 근거로 계산한 천체 위치..